Archive for 1월 2012

LE RÉEL EST INADMISSIBLE -DʼAILLEURS IL NʼEXISTE PAS

2012년 1월 26일 목요일 § 0


전시회장 앞에 붙어있던 전시 포스터 -그림은 philippe cognée
Hab galerie 입구, 퐁피두 1층에 있는 서점처럼 한쪽에서 전시 카탈로그와 아트북들이 판매되고 있다.
Hangar à bananes, 동그란 원들은 Daniel Buren의 설치작업 Les Anneaux de Buren



12월 초에 학교메일로 한 전시회 베르니사주 초대 메일을 받았었다.

전시회 제목은 Le réel est inadmissible - d'ailleurs il n'existe pas
"용인될 수 없는 현실 -더구나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도로 해석될 것 같다.
2011년 12월 3일부터 2012년 2월 5일까지 Hangar à bananes 의 Hab Galerie에서 열린 전시이고,
이 프로젝트를 위해 다섯 국가의 아티스트들이 모였다.
Darren Almond(영국), Marc Bauer(스위스), Philippe Cognée(프랑스), Eberhard Havekost(독일), Jim Jarmusch(미국).

사실 Jim jarmusch(짐 자무시)는 내가 정말 좋아하는 영화감독이다. 그래서 더욱더 '이 전시는 놓치지 말아야지..'라고 마음먹었던 건데, 아쉽게도 전시관에서 상영되고 있던 영화는 내가 예전에 이미 본 The limits of control(2009)이었다. 그리고 내가 도착했을 땐 한창 영화의
중간부분이 나오고 있었으므로 과감히 패스했다.

전시회장에 오기전부터 관심이 있었던 아티스트는 짐 자무시 말고도 필립 꼬녜(Philippe Cognée)가 있었다. 내가 내 페인팅 작업을 교수님들께 보여줬을 때, 한 교수님이 참고할 만한 아티스트로 언급한 적이 있었고, 같은 학교인 호암오빠 역시 그의 한 작업(La foule)을 추천해 주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번은 미술에 대해 문외한인 한 프랑스인 친구가 우연히 아트채널에서 필립 꼬녜의 작업과 작업방식을 본 뒤, 그런 느낌이 참 좋은거 같다며 나도 살짝 그런 느낌을 따라해 보는건 어떻겠냐고 말한적도 있었다. 이렇게 세명씩이나 같은 아티스트를 추천해 주니, 참 신기하다는 생각도 들어 인터넷을 통해 그의 작업들을 보게 되었다. 페인팅을 한 후 그 위에 플라스틱 필름을 놓고 다리미로 다려서 흐린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그의 작업방식은 참신하면서도 재미있었고 그가 만들어 내는 이미지들도 꽤 흥미로웠다. 그리하여 참 그에 대한 기대가 참 많았는데, 아쉽게도 이번 전시에서 내 맘에 쏙 들어오는 그림은 없었다.
(참고로, 필립 꼬녜는 우리학교(에꼴 데 보자르 드 낭뜨)를 졸업했고, 2004년도 마르셀 뒤샹 상을 받았다. 그리고 최근 전시목록을 보니 2007년 2008년 서울의 Johyun gallery에서도 전시를 했던 기록이 있다.)

이 전시에서 내가 새롭게 발견한 아티스트는 Eberhard Havekost 였다. (에버하드 하베코스트? 독일이름은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르겠다. 프랑스 식으로 읽으면 '에베하흐 아베코스트' 정도인데.. 다음에 독일인을 만나게 되면 물어봐야겠다.)
일단 아티스트에 대해 조금 설명하자면, 1967년에 독일의 드레스덴에서 태어나 현재 베를린에 거주중이고, 그의 작업은 모마 컬렉션이나, 덴버 아트 뮤지엄, 테이트 뮤지엄에도 전시중이라고 한다. 그는 주로 TV나 비디오, 잡지, 카탈로그 등의 사진이나 자신이 직접 찍은 사진들을 기본 소스로 이용한 페인팅들을 한다고 하는데, 이번에 전시된 작업들만 해도 바로 그런 점들을 느낄 수 있다. 유화작품들이 여러점 있었는데, 흐린 숲의 이미지같은 페인팅들도 있었고, 부서진 차를 그린 그림들도 있었다. 부서진 차들의 이미지는 플래쉬가 터진듯한 느낌의 빛표현이라던가 앵글이라던가 모든게 다큐멘터리 사진같았다.

하지만 무엇보다 나의 시선을 사로잡았던 작품은 superstar 2 라고 이름붙여진 높이 2미터 넓이 4미터의 거대한 페인팅이었다. 사실 왜 좋았던 지는 잘 모르겠지만, 4미터를 왔다갔다 하며, 또 몇발자욱 뒤로 물러나며 계속 계속 바라보게 하는 그림이었다. 또한 왼쪽구석에 있는 작고 뜬금없는 이미지는 이 작품의 미스테리함을 극대화시키는 듯하다.
나는'전시회의 주제와 참 잘 어울리는 그림이네' 하고 생각했다.
용인되지 않는, 게다가 존재하지도 않는 현실.
설명은 못하겠지만 그냥 느껴졌다.

그리고 전시회장에서 전시 가이드 봉사를 하고있던 친구 마리안을 만났다.
나는 말했다.
-나쁘지 않네, 느낌은 알겠는데 뭔가 어렵다.
마리안이 대답했다.
-응, 이 전시는 설명을 듣고봐야 더 재밌는 것 같아.
그리고 이런저런 설명을 해주었다.

역시 작가들의 의도와 작업설명을 듣고 작업을 보면 더 이해하기 쉽고, 더 흥미롭다.
하지만, 굳이 설명까지 듣지 않고도 보는 이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는 작업들은 항상 있다.
나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 작가가 되고 싶다.



(아, Darren Almond의 비디오도 기억에 남았는데, Bearing이라는 35분길이의 비디오는 어떤 동양 남자가 산을 올라가면서 짐 같은걸 나르는 것을 셀프카메라 형식으로 찍은 것이었다. 그 사람의 몸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클로즈업된 그의 얼굴과 그 뒤로 산의 풍경과 하늘 등이 보였다. 그것이 뭔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그는 어깨에 뭔가를 짊어지고 산을 오르고 내리는 중이었고, 차림새나 표정에서 유추하건대 그것은 그의 오래된 직업같았다. 고된 노동으로 힘든 그의 표정과 거친 숨소리, 그리고 뒤로 보이는 안개낀 산의 환상적인 풍경의 조화는 참 비현실적인 느낌을 주었다. 나는 비디오를 다 보지 못하고 30분정도 보고 자리에서 일어났는데, 35분동안 오로지 그의 고통스러운 표정(그렇지만 딱히 인상을 쓰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을 보는것은 마치 나도 그의 노동에 동참하는 듯이 고통스러운 느낌이었기 때문이리라. (걷고있는 그의 몸에 고정된 카메라의 영상이기에, 마구 흔들리는 영상을 오랫동안 보는것 자체가 엄청나게 힘든일이기도 했다.) 그리고 이 바로 옆쪽에 A라는 이름의 비디오가 있었는데, 사실 이미지가 지루해보여 보지는 않았지만, 내가 Bearing을 보는 내내 A의 배경음악이 들려왔다. Lyle perkins의 음악이라고 적혀있었는데 이 음악은 bearing의 영상과도 꽤 잘 어울렸다고 생각했다. A는 같은 작가의 2002년 작품,  Bearing은 2007년작 작품인데, 개인적으로 이 두 작업을 소리가 섞이게 배치한 것에서 큐레이터의 센스가 느껴졌다.)


전시회장 이미지
http://www.esba-nantes.fr/ACTU/SEM195/HTML/

불어판 보도 자료 다운로드
www.esba-nantes.fr/ACTU/SEM192/DP.pdf

Eberhard Havekost의 superstar 2 상세정보
http://www.artnet.com/ag/fineartdetail.asp?wid=425153915&gid=0

le samedi 21 janvier 2012, à Nantes

2012년 1월 21일 토요일 § 0

photo by me
  보고싶은 전시도 있었고, 강바람이 쐬고 싶어지기도 해서 오후에 잠깐 외출을 했다. 그저께부터인가 날씨가 풀려서 낮에 오랫동안 걸으니 조금 덥기까지 해서 차가운 강바람이 더 기분좋게 느껴졌다. 길에서 우연히 병원아뜰리에에서 만났던 여자아이를 만났다. 키도 크고 날씬해서 인상적인 이미지에, 내 아뜰리에에 정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어서 내가 그 아이를 간호사라고 착각한적도 있었던 아이다. 그 아이가 그때 기억을 un bon moment de rigolade (웃고 장난치던 좋은 순간)이라고 말해주어 기분이 참 좋았다. 조금은 어색하게 또는 풋풋하게 대화를 하고 헤어졌는데, 아쉬운 느낌이 들면서도 내 얼굴에 자꾸 미소가 번졌다. 혼자 걷고 있었기에 웃으며 걸으면 미친 여자처럼 보일 것이 당연했다. 그래서 애써 참으려고 했지만 그게 또 생각보다 쉽지 않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터 지금까지를 되돌아보면, 나는 참 망설임이 많은 사람인 것 같다.
내가 호감을 느끼는 상대에게(이성이던 동성이던 항상) 대범하게 다가가거나 말을 하거나 하는 행동은 해 본적이 별로 없다. 그에 비해 운은 참 좋았다. 나중이지만 그 사람들이 나에게 다가와 주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상황은 똑같다. 내가 그 사람과 있을때에 혹시나 어떤 나의 행동이 그 사람을 실망시킬까, 그리하여 처음의 나에 대한 호감마저 사라질까 두려워 항상 긴장하고 있고, 뭔가 망설이다가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
  오늘 만난 아이도 사실 너무 알고싶고 친해지고 싶다고 생각한 사람이어서 "커피 한잔 할래?"라던가 연락처를 물어보던가 하고 싶었다. 그렇지만 그냥 무언가 쓸데없는 걱정들이 내 입술을 꼭 다물게 만들고, 항상 그랬듯 "아 그럼 안녕, 잘가"라고 말해버리게 만들었다.

Une traversée de buffalo - 버팔로 횡단

2012년 1월 20일 금요일 § 0






  그저께 저녁 6시쯤, LU에서 한 공연을 봤다.
제목은 "버팔로 횡단", 공연장에 들어서니 무대위에는 커다란 스크린이 있고 그 양 옆으로 두명의 중년 남자가 서있었다. 왼쪽에 서 있는 남자는 바이올리니스트였는데 검정색 긴 생머리의 마른 체구였고, 오른쪽엔 백발의 배가 남산만하게 나온 소설가가 서있었다.
공연이 시작하고, 백발의 남자는 악보받침대 같이 생긴 것에 고정된 아이패드를 보며
자신의 글을 감칠맛 나게 읽어나갔고, 중간 중간 생머리의 남자가 여러가지 실험적인 방식으로 바이올린을 켰다.

  소설가가 읽는 글의 내용은 그가 횡단했던 미국의 버팔로라는 나이아가라 폭포 근처의 작은 도시에 대한 것이었다. 그는 2010년 초 렌트카를 타고 그곳에 방문했는데, 넓게 펼쳐진 버팔로 도시에서 길을 잃었었다. 그 때 그는 그 곳에서 미국 대 호수들의 공업적, 사회적인 수많은 이야기들이 무한하게 병렬되어 나타나는 것을 느꼈고, 퀘벡으로 돌아왔을 때 이 도시를 Google Earth에서 찾아보게 된다. 그리고 그는 위성사진을 보며 그 안에서 또 한번 길을 잃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위성사진들은 우리가 실제로는 접근할수도 없는 금지된 장소들로도 접근할수 있는 기회를 주고, 그러한 이미지들은 실제로 우리가 도시를 바라보는 비젼과는 상당히 달랐기 때문이다. 이 때부터 그는 이 작업을 시작하였고, Google earth에서 본 위성사진들을 가상의 이야기들과 연결시킴으로써 판타지를 생성하고 새로운 도시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단순한 낭독이라기보단 속삭임, 외침 등의 연극적인 요소가 많이 들어있던 열정적인 리딩. 공연 중 때때로 재생되던 도시의 여러가지 작은 소음들. 연주되었다기보다 뭔가 말을 하고자 하는 듯했던 바이올린의 소리들. 이 모든게 절묘하게 어우러져 나는 잠시동안 나만의 환상의 도시를 여행하는 기분이 들었다. 이 느낌은 작년 여름 파리에서 la maison rouge의 기획전시 "My Winnipeg"를 볼때의 느낌과 비슷했다. 그 전시 또한 한 도시에 대한 것이자, 그 도시의 아티스트들의 작업에 초점이 맞춰있었는데 그 때에 받은 신비한 느낌은 아직도 생생할 정도로 강렬하다. 내 관점에서 이번 공연은 그 전시에 비할 수는 없지만 그런 신비한 느낌의 기억을 되새기게 한 자체로 나에겐 의미가 있었다.
만약 흠이 있었냐고 한다면, 스크린에 나오는 이미지를 십분에 한번쯤? 바이올린 연주자가 직접 설정을 바꾸느라 뭔가 작고 잦은 끊김들이 있었다. 그런 작은 단절들은 공연을 통해 다른 세상을 여행하던 나를 한순간에 다시 현실세계로 돌려놓고, 그 단절들이 잦아짐에 따라 그것은 성가심으로 변해 공연을 지루하게 느끼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시한번 디테일의 소중함을 되새기게 된다. 더욱이 이렇게 관객들을 다른 세계로 푹 빠뜨리는 공연이라면 말이다.

참조 키워드-
LABO UTILE LITTERATURE
SEQUENCE "CITES ET FRONTIERES, PARCS ET PAYSAGES"
MERCREDI 18 JANVIER 2012 A 18H30
유용한 문학 연구소
시퀀스 "도시와 국경, 공원과 풍경들"
2012년 1월 18일 수요일 오후6시30분 


PERFORMANCE / LECTURE
"UNE TRAVERSEE DE BUFFALO"
AVEC FRANÇOIS BON- TEXTE, VOIX
ET DOMINIQUE PIFARELY- VIOLON, TRAITEMENT NUMERIQUE
퍼포먼스/낭독
"버팔로 횡단"
프랑소와 봉 -텍스트, 목소리
도미니끄 피파흘리- 바이올린, 디지털 이미지,음향 조절


Lien Internet 인터넷 링크

ACTE MANQUÉ (실착 행위)

2012년 1월 18일 수요일 § 0




"ACTE MANQUÉ" est un projet commun de Hwan hee LEE, Chaeo PARK, Miseon PARK et Billy VAN PUYVELDE (étudiants à l'Éco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Nantes) réalisé dans le cadre du KINO. Le KINO est un travail collectif ayant pour contrainte de devoir être effectué sur 4 jours, durant lesquels une équipe constituée doit écrire, tourner, monter et adapter à un support de diffusion adéquat une production basée sur un sujet, ici en image-mouvement. En réponse au sujet "Le Grand Jeu", "ACTE MANQUÉ" est une sorte de comédie dramatique en huis-clos.

Durée : 6m30s
Année de production : 2011



  "ACTE MANQUÉ"악뜨 멍께(실착행위)는 이 환희, 박 채오, 박 미선, 빌리 반 퓌벨드 (에꼴 데 보자르 드 낭뜨 재학생들)의 공동 프로젝트로서 Kino(키노) 과정 중에 제작되었다. 키노는 자유롭게 구성된 한 그룹이(한 그룹은 세 명 이상이어야 한다.) 교수들로부터 주어진 한 주제에 기초하여 4일 동안 시나리오 작성, 촬영, 편집, 방영까지 공동으로 작업하는 것을 일컫는다.
주제진 주제는 "Le Grand Jeu" 직역하면 "큰 게임"을 의미하고, 그에 대한 답으로써 우리가 제시한 "ACTE MANQUÉ"는 한 공간안에서 펼쳐지는 무언의 희비극이다.

러닝타임 6분 30초
제작년도 2011년


Voir cette vidéo (비디오 보기) : http://vimeo.com/31612764
 
Définition du terme "ACTE MANQUÉ"  http://fr.wikipedia.org/wiki/Acte_manqu%C3%A9

"실착행위"의 정의 :

사실 ACTE MANQUÉ라는 단어는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불어를 한글로 직역하면 "실패한 행동", 즉 "실수"정도로 해석이 가능하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관점으로 접근하면 "실착행위", 즉 무의식중에 가지고 있던 욕망이 실수를 하게 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한국판 위키백과사전에는 딱히 확실한 정의가 올려져 있지 않길래 간단히 설명드립니다. 아래 글은 네이버 지식사전 '간호학대사전'(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79902)에서 찾은 실착행위의 정의입니다.

착행위증 [ parapraxia, Fehlkistung, 錯行爲症 ]


잘못 말하거나 잘못 쓰는 등 일상적으로 흔한 잘못을 말한다. 프로이드는 이와같은 실착 행위는 단순한 부주의나 우연에서 생기는 것은 아니고 무의식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의식적인 의도가 무의식적인 의지에 의해서 방해를 받고 그 타협산물이 착행증이라고 했다. 따라서 착행증에서 그 사람의 숨겨진 무의식 심리를 알수가 있다. 예를 들면 방문한 곳에서 우산을 잃어버리는 것은 다시 한번 방문하고 싶다는 무의식적인 소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Réalisation des affiches pour le festival INTERCULT'

2012년 1월 16일 월요일 § 0

Trois versions originales des affiches sans texte
완성된 세가지 버젼의 포스터(글씨 넣기 전)

J'ai réalisé ces trois affiches pour le festival INTERCULT'.
Le thème était "from street to art".
  J'ai mis un homme habillé d'un costume et écoutant de la musique avec un casque, pour représenter les cultures urbaines. De plus, j'ai ajouté des éléments symboliques de la ville de Nantes en arrière-plan pour chaque affiche (la tour du Lieu unique, l'éléphant géant, la tour de bretagne, les anneaux de Buren et la grue du hangar à banane).

페스티벌 인터컬트를 위한 포스터 제작을 했습니다. 이번 페스티벌의 테마는 'from street to art' 였습니다. 페스티벌에 음악공연이 많은 걸 고려하여 정장을 입은 남자가 헤드폰으로 음악을 듣고 있는 이미지를 넣음으로써 '길거리에서 오는 예술'이라는 테마와도 어울리는 느낌을 주고자 했습니다. 게다가 포스터의 뒷 배경에는 낭뜨의 상징적인 요소들을 배치했습니다. (매년 페스티벌이 열리는 장소가 낭뜨의 여러 장소들이기 때문에) (Lieu unique 탑, 거대 코끼리, 브르타뉴 타워, Buren 링들..)






intercult' 웹사이트
intercult' 페이스북 페이지
낭뜨 시 웹사이트에 소개된 페스티벌 intercult'

Prix Art School 2011-Catégorie Peinture / Deuxième place

§ 0

1. peinture exposée au batofar à Paris
2. vue de l'exposition
3. remise des prix (deuxième place dans la catégorie de peinture), le 8 avril 2011
1. 파리 "batofar"에서 전시된 페인팅 작업
2. 전시회 풍경
3. 상 수여식 (페인팅부문 2위 수상) 2011년 4월 8일



L'explication du tableau
 Quand on est vraiment tout seul, même un regard amical peut nous rendre heureux.
dans ce cas-là, le présent de la communaté est le plus efficace.
 C'est une personne âgée qui était toute seule à la gare, je l'ai prise en photo puis j'ai essayé de changer l'impression de son visage triste en mettant Iphone à sa main.
Iphone et la marque NIKE de son blouson representent un présent de la communaté qui l'aide.
l'éloge de la communauté
 작업설명 
  자신이 정말 혼자라고 느끼고 있을 때엔, 타인의 따뜻한 눈빛 하나만으로도 위안을 얻고 행복해 지기도 한다. 이런 경우가 공동체의 존재가 가장 큰 힘을 발휘할 때이다. 
  이 그림의 모델은 내가 사는 곳 근처의 기차역 앞에 홀로 앉아있던 어느 노인이었다. 그에게 양해를 구해 사진을 찍은뒤 그림으로 옮겼다. 그의 표정은 슬픈표정에 가까웠지만 작업을 하면서 표정을 밝게 바꾸고, 손에는 스마트폰을 더했다.

이 그림 속 자켓의 나이키 마크와 아이폰의 마크로 그를 돕는 공동체의 존재를 표현하려고 했다.

"공모전 주제 - 커뮤니티의 찬가"

L'analyse du jury
  2ème prix Le jury a trouvé sympathique cette vieille personne au regard lumineux et au visage souriant, presque mutin, qui contraste avec ses vêtements jeune et son smartphone (pour ne pas le nommer). Une belle illustration des paradoxes que l’on peut trouver au sein d’une communauté, et qui en font toute la saveur et la richesse.

심사위원의 평
2번째 상을 받게 된 이 작업에서 심사위원들은 노인의 빛나는 눈빛과 장난스럽게까지도 보이는 미소짓는 얼굴, 그리고 그와 대조를 이루는 젊어보이는 옷차림과 스마트폰(상표 이름을 언급하지 않기 위함)을 흥미롭게 보았다. 공동체의 중심에서 우리가 찾아볼 수 있는 역설적인 것들을 풍부한 재치로 아름답게 그려내었다.
Link "Résultat du concours" 공모전 결과 링크
공모전 사이트